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udp checksum
- 802.11 Hacking
- Mac host OS
- Mac Kali Linux
- C++
- wireshark 802.11
- 네트워크
- libtins
- mac 출력
- Mac rEFIt
- Nexus Root Toolkit
- ip checksum
- 모니터모드
- packet capture
- 네트워크 해킹
- 802.11
- tcp checksum
- android linux
- Mac 멀티 부팅
- AP Hacking
- network hacking
- hacking
- Qt
- 틴즈 라이브러리
- Mac 트리플 부팅
- Network Cracking
- Mac
- monitor mode
- airodump-ng
- 해킹
- Today
- 32
- Total
- 160,978
목록Mac OS (20)
Dork's port
$ brew install poppler 먼저 위의 명령어로 poppler를 설치한다. 그런 후 명령어를 이용해 봐주면 된다 $ pdffonts name_of_pdf.pdf 2019/05/16 - [Paper] - PDF Font type이란? PDF Font type이란? 논문을 작업하던 도중 PDF Type이 3로 되어있어, 1로 바꾸라는 피드백이 왔다(Python matplotlib를 사용하였는데, 기본적으로 Type3로 저장된다). 무슨말인지 몰라서 찾아보았다. PDF에는 Font가 들어가는데, 이 F.. blog.dork94.com 2019/05/16 - [Develop] - Python에서 matplotlib이용 시 font type 변경하기 Python에서 matplotlib이용 시 font..
$ docker logout
아래 커맨드를 터미널에서 입력한 후 재부팅하면 해결된다. $ sudo /Applications/Vmware\ Fusion.app/Contents/Library/vmnet-cli --stop $ sudo /Applications/Vmware\ Fusion.app/Contents/Library/vmnet-cli --start
안녕하세요. 저는 Git이나 여러 작업을 할때 CUI가 어느정도 편해서 Terminal을 주로 이용하곤 하는데 이전에는 Command + Space를 이용하여 Terminal을 Open 하였습니다. 하지만 리눅스의 습관이 남아있어서 그런지 너무 불편하더라구요. 그래서 찾아보았습니다. 그리 어렵지 않으니 천천히 따라오시면 됩니다 :) 우선 이용할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Mac에 내장되어 있는 Automator를 이용하도록 하겠습니다. Automator를 열어주세요. 그리소 도큐멘트 유형으로는 서비스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왼쪽의 AppleScript 실행을 누른 후 오른쪽으로 드래그해주세요. 그러면 아래와 같이 소스를 입력할 수 있는 form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때 상단의 서비스가 받는 항목이 기본적으로 텍..
터미널에서 아래의 명령 입력 $ sudo killall -HUP mDNSResponder; sleep 2; echo macOS DNS Cache Reset | say 출처 : http://osxdaily.com/2017/12/18/reset-dns-cache-macos-high-sierra/
안녕하세요. 파이썬으로 아래와 같이 TUN Interface를 생성 하려고 할때 디렉토리를 찾지 못한다는 오류와 함께 제대로 동작하지 않아 검색해보았습니다. import os, sys # Open file corresponding TUN Interface Device # Open for reading and writing tun = os.open('/dev/tun0', os.O_RDWR) 해결은 아래와 같이 TUN/TAP 을 설치해 주시면 됩니다! $ brew install Caskroom/cask/tuntap
$ export DISPLAY=:0.0
$ sudo xcode-select -switch /Applications/Xcode.app/Contents/Developer 터미널에서 위의 명령 실행
링크 주소에서 본인의 OS 버전에 맞는 Port 다운 터미널 실행후 아래 명령어 입력 $ sudo port install gnuradio $ brew install caskroom/cask/xquartz 출처 : https://www.jeffreythompson.org/blog/2015/10/11/sdrhackrf-one-mac-setup-and-basics/
안녕하세요. 요즘에 원격에서 터미널을 이용할 경우가 많아 이용하고 있는데 방법을 잘 모르시는 것 같아 공유하려고 합니다. #SSH 연결하기 먼저 터미널을 하나 열어 줍니다. 터미널은 응용프로그램에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그러면 Dock에 터미널 아이콘이 생성 될 것 입니다. 그때 오른쪽 클릭(트랙패드에선 두 손가락 클릭)을 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새로운 원격 연결을 눌러줍니다. 그리고 나타나는 나타나는 화면 중 오른쪽 +를 클릭하여 아래와 같은 화면으로 서버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원하는 서비스를 클릭하시ㅗ 오른쪽에 서버를 누르시면 자동으로 맞는 터미널 명령어가 생성되며 연결을 할 수 있습니다! #Telnet 연결하기 현재 Hifgh Sierra에서는 보안상의 이유로 Telnet을 ..
안녕하세요. Python에서 requests 모듈을 사용하려고 하니 에러가 나와서 해결 방법을 찾아 보았습니다. 이전에 저는 pip명령어를 통해 requests를 설치하였는데, 해당 명령어로 requests를 설치하면 오류가 발생 하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아래의 명령어로 다시 재설치 해주시면 정상적으로 사용이 가능 합니다. $ sudo easy_install -U requests
안녕하세요. 오늘은 Mac OS에서 Qt Creator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공유하고자 합니다. xcode사용시 자동완성에 대한 부분이나 설정에 대한 부분이 번거로운 것 같아 원래 쓰던 IDE를 쓰려고 하니 까다롭더라구요. 그래서 수시간의 삽질 후에 방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몇가지 명령어를 통해 간단히 실행할 수 있었네요. $ sudo brew install qt5 $ sudo brew link qt5 --force $ sudo brew cask install qt-creator 위 명령어를 통해 간당히 설정 및 qt-creator 설치가 가능 합니다. 만약 오류가 발생하면 댓글로 알려 주시 길 바랍니다. 이전에 삽질할때 build & run에서 kit에 대한 환경을 수동으로 추가 해주었는데 자동으로..
안녕하세요. 오늘은 Mac OS에 있는 NIC를 Monitor Mode로 전환화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Wireshark를 이용한 방법 2. 명령어를 이용한 방법 #Wireshark를 이용한 방법 Wireshark 를 이용한 방법의 장점으로는 몇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사용이 쉽다. 둘째. 모니터 모드를 사용하면서 인터넷이 가능하다. 단점으로는 Wireshark가 System resource를 잡아먹어 컴퓨터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Wireshark 를 통한 패킷 분석이 목적이 아니라 어떠한 프로그램을 통해 패킷 분석을 하는 분들께는 불필요한 자원 할당이겠죠. 방법은 아주 쉽습니다. 와이어 샤크를 구동시킵니다. 그리고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을 ..
안녕하세요. 오늘은 Mac OS에서 FTZ 접속시 한글 깨짐 해결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해결 방법은 간단한데요. 우선 root 계정으로 로컬 서버에 접속을 하여 문자 인코딩 방식을 바꿔주도록 하겠습니다. # vi /etc/sysconfig/i18n 그 후 위의 사진과 같이 기존에 설정되어있던 LANG의 설정을 주석처리(#)후 아래처럼 추가를 해주시면 됩니다. LANG="ko_KR.euckr" 그 후 MAC 에서 터미널을 클릭한 후 위의 위의 상태바에서 터미널 - 설정 - 프로파일 에서 텍스트 인코딩을 다음과 같이 EUC로 바꿔주시면 정상적으로 보일 겁니다(기본적으로는 UTF-8로 되어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xterm-256color': unknown terminal type. 에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FTZ를 VMware로 구축하여 사용하던 도중 맥에 존재하는 터미널로 SSH접속을 했을때 Clear 나 기본 명령어 등을 쳤을 때 해당 오류가 나오는 경우가 있어 해결 방법을 찾아보았습니다. 해결 법은 간단합니다. 서버측의 터미널에서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해주면 정상적으로 동작 합니다. $ export TERM=xterm
안녕하세요. Mac OS를 이용하여 블로그를 포스팅 할때에 사진을 첨부하여 이해가 쉬울 수 있도록 포스팅을 하곤 하는데, Mac OS에서 사진 추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아(사진 추가버튼을 눌러도 아무런 응답이 없음) 파일 항목을 통해 사진을 추가하곤 하였습니다. 이대로는 안되겠다 싶어 해결 방법을 찾아보았습니다. 참조한 블로그는 아래 표기해 두겠습니다. 아마도 Flash Player가 보안모드로 실행되어, 파일에 접근할 수 없도록 기본적으로 설정이 되어있어 사진 추가 버튼을 눌러도 파일 시스템에 접근 권한이 없기 때문에 그런 것 같습니다(그렇다면 왜 파일항목으로는 추가가 되는지 의문이네요). 해결 방법은 간단합니다. 본인의 글쓰기 화면에서 사진 추가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이때..
LibTins는 Linux 뿐만아니라 Windows 및 MacOS 지원합니다. 설치 방법 및 사용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설치는 간단하게 brew 명령어를 이용해 설치가 가능합니다 $ brew install libtins brew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아래와 같이 설치가 가능합니다. $ /usr/bin/ruby -e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master/install)" 이러면 간단하게 설치가 완료 되어 LibTins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콘솔창에서 사용하시려면 아래와 같이 -ltins를 이용해 링크만 해주시면 사용 가능합니다(tTinsLibrary오탈자는 양해부탁드립니다). 그리고 아래는 Xc..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Mac OS 에서 VMware 를 사용할 때에 해당 윈도우(창)만 캡처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전에 듀얼부팅을 사용하였을때에는 기본 명령어(Alt + Print Screen)를 눌러서 캡쳐를 했는데 이와 같은 방식으로 VMware 에서 캡쳐를 시도하니 전체 화면 밖에 캡쳐가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그에 대한 해결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우선 제가 사용하는 모델은 아래와 같이 VMware를 구동시에 터치바가 작동하는 모델입니다. 자 그럼 설정을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Kali Linux 에서 설정으로 진입합니다. 그러고 난 후 장치를 클릭합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이는데 이때 키보드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아래에 보이는 창 스크린 샷을 Pictu..
안녕하세요. 최근 High Sierra로 버전 업데이트가 되면서 기존의 포맷 방식이아닌 새로운 포맷 방식 APFS(Apple File System)가 나왔습니다. APFS는 SSD(Solid State Drive)환경에서 SSD의 성능을 보다 더 최대로 끌어 낼 수 있도록 고안된 포맷 방식으로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참조 바랍니다. 그러나 저같은 경우 제 임의로 디스크를 Partition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하지만 APFS는 partition을 지원하지 않습니다(APFS의 특성중 하나입니다). 저같은 경우 APFS파일 포맷을 파티션하려고 할 경우 아래의 오류와 함께 파티션이 진행되지 않았습니다."APFS 컨테이너 크기 조절 오류 코드는 49187입니다." 그리고 여러 호환의 문제때문에 저 같은 경우 A..
안녕하세요. 맥을 포맷하고, 환경을 구성하는 것도 여간 오래 걸리는 일이 아닙니다, 그래서, 현재 사용 중인 맥을 백업한다면, OS 재설치 시 현재의 환경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한데, Mac OS에서 그러한 기능을 제공해주는 것이 바로 Time Machine 기능입니다. 그러나 이런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저장 장치(USB 나 외장 하드 등)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네트워크를 이용해 원격으로 파일을 저장하고, 받아 올 수 있다면, 언제 어디든 OS의 재설치가 가능합니다. 인터넷이 연결되어있다면요. 오늘은 그래서 NAS(Network Attached Storage)를 이용하여 백업 본을 저장하는 서버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용하는 NAS는 Iptime NAS 3 모델이며 현재 Hi..